돌보는 숨 김리윤
《모자를 뒤집으면 시작되는》 작업 노트 김리윤
연주되는 세계 김선오
붉은 심포니 김선오
《전망들》 작업 노트 김리윤
음과 단어의 거처 김선오
나의 움직임이라는 것을 해결하고 김리윤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동안의 피아노 음악 김선오
미미한 더미 김리윤
「불결한 무(無)」 작업 노트 김선오
새 숨 김리윤
Type it 김선오
사랑이라는 비문법 김리윤
짖는 기도 김선오






배회와 궤적
  1. 흰 새의 뒤통수를 구성하는 흰 것과 희지 않은 것
  2. 더미와 형상


베를린에서 쓰기
  1. 2024.12.31 · 2025.1.1
  2. 2025.3.18


부드러운 재료
  1. 유리 상태: 가변 영원
  2. 유리 상태: 이미지 되기
  3. 유리 상태: 사랑과 작은 사자


시와 물질
  1. 비는 해수면에 닿는 순간 바다라 불린다
  2. 잠시 가두며, 표면을 흐르게 하며, 투명한 몸으로 통과 시키며
  3. 우리가 벌을 볼 때마다
  4. 미완 귀신 Unfinished Ghosts: 퀴어 포트레이트, 치앙마이
  5. 미완 귀신 Unfinished Ghosts: Intro
  6. 미완 귀신 Unfinished Ghosts: Prototype Ghost, Chiang Mai
  7. 〈비는 해수면에 닿는 순간 바다라 불린다〉 작업 노트


편지
  1. 익명의 독자님께
  2. 치앙마이에서 보내는 편지
  3. 도이사켓에서 보내는 편지


시대모사
  1. 어떤 착지 / 파동
  2. 산책법
  3. 물잔을 이해하다
  4. 씻긴 신


새 손
  1. 작업 노트
  2. 「깨끗하게 씻은 추상」을 위한 메모 또는 씻은 손 일지
  3. 깨끗하게 씻은 추상
  4. 전시 연계 텍스트: 눈과 손
  5. 인터뷰


전망들
  1. 전망들―무른 산
  2. 전망들―감정과 사물
  3. 전망들―장면의 자락
  4. 전망들―우연과 리듬
  5. 전망들―한 마리 하나 한 개
  6. 전망들―새 얼굴로
  7. 「전망들―새 얼굴로」를 위한 시작 노트
  8. 새 손으로
  9. 전망들


사랑이라는 비문법

안 에르보 『나는 너를 너무나 사랑해』 디자인 과정에 부치는 글



한 권의 책이 사랑을 다룬다고 할 때, 우리는 사랑의 몸으로서 책이 얼마나 투명해질 수 있는지를, 얼마나 넓어질 수 있는지를, 동시에 아주 조그마한 것일 수 있는지를, ‘우리’라는 말을 어떻게 다룰 것인지를, 유동적인 형상이 될 수 있을지를,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는지를 의심한다. 때때로 감정은 언어를 압도하고, 언어 바깥으로 깡총깡총 뛰어나가고, 언어에 자신의 무게와 운동성을 지탱하기 위한 구조를 요구한다. “나는 너를 너무나 사랑해.” 얼핏 명징해 보이는 하나의 고백, 익숙한 문장으로 이루어진 제목을 가진 이 책은 사랑한다는 말을 두드려 문 없는 게이트를 만든다. 문을 통해 아주 많은, 거의 무한하다고 해도 좋을 법한 것들이 드나든다. 안 에르보의 『나는 너를 너무나 사랑해』는 고백이 만들어내는 운동이자 감정이 언어 구조 안에서 어떻게 미끄러지고, 진동하고, 번역되고, 완결로부터 계속 멀어지는지를 미세하게 추적하는 책이다. 언어의 층위와 조형적 질료의 포개짐 위에 고백이라는 형식을 쌓아 올린 하나의 시각적—언어적 구조물이다. 언어 체계가 다 포획할 수 없는 수많은 형태의 사랑, 사랑을 둘러싼 말들에서 스며 나오는, 부득이하게 언어라는 외피에 담겨야 했던 감정과 상태로 우글거린다. 성글게 짜인 직물에 욱여넣은 ‘우리’라는 상태. 책은 그로부터 기어이 새어 나오는 발화를, 자루 너머로 얼비치는 우리를 다룬다. “나는 너를 너무나 사랑해”라는 고백, “나는 너를”로 시작하는 말들은 수없이 반복되고 변주된다. 장면마다 고백은 풍경으로, 기후로, 움직임으로, 리듬으로 확장된다. 이 과정에서 문장은 고백을 담기 위한 껍질이 아니게 되고, 고백은 문장의 구조로부터 발생한다.


우리의 삶에서, 우리가 겪는 관계에서, 우리에게 출현하는 타자로부터 발생하는, 그리하여 이 책에 담긴 ‘사랑’이라는 감정의 구조를 시각적으로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가 이 책의 물성을 만드는 자로서의 고민이었다. 그 과정에서 그림책의 특성상 더욱 견고하게 느껴지는, 원서라는 제약에 어떻게 부드러운 테두리 정도를 만들 수 있을지도. 하드커버 표지에는 젠더는 물론 종 역시 모호한 두 존재가 껴안고 있는 원서의 표지 이미지만을 넣었다. 책 안에서 우글거리는 말들이 소거된 채로 ‘우리’는 서로의 일부를 포개며 포옹한다. 제목을 포함한 모든 활자는 반투명한 북재킷에 인쇄되어 있고, 프랑스어 원제인 『Je t’aime tellement que』와 한국어판 제목인 『나는 너를 너무나 사랑해』가 중첩된다. 이 겹침이 단순한 번역의 병렬이 아니라 하나의 감정이 언어라는 몸을 통과하며 어떤 방식으로 다르게 출현하는지를 보여주기를 바랐다. 중첩은 문장의 독해를 지연시킨다. 반투명한 레이어 위에서 두 문장은 서로를 포개며 시선을 교란한다. 몸 위의 껍질에서 어른거리는 제목은 이 책에서 말하는 사랑, 언어의 표면에서 벌어지는 실패와 비틀림, 막춤의 운동 속에서 발생하는 사랑과 닮아 있다. 불어 원제와 한국어 제목, 단수의 명료한 중심이 아니라 복수의 감각과 속도를 내포한 필체로 이루어진 제목의 중첩은 다성적인 고백의 풍경을 이룬다. 각기 다른 손의 움직임과 필압은 이 책이 단일한 관계나 고백의 일방성을 지양하고, 사랑이라는 사건의 복수성과 흔들림을 드러내고자 함을 조형적으로 번역한다.


우리는 “I love you”나 “Je t’aime”처럼 고백을 구성하는 문장의 삼단구조에 익숙하다. 명확한 주어(I, Je), 능동적 동사(love, aime), 그리고 대상(you, te). 주체(나)—행위(사랑)—대상(너)의 구조는 행위의 방향을 명확히 지시하고, 고백을 전송 가능한 메시지로 환원한다. 프랑스어 제목 Je(나), t’aime(너를 사랑해), tellement que…(너무나 …해서)는 그 자체로 완결로부터 달아나려는 성질, 줄임표를 내포하고 있다. 구문적으로 완결되지 않는 이 제목은 언제나 ‘그래서’ 뒤의 무한을 내포하는 사랑의 속성을 드러낸다. 감탄의 부사절 ‘tellement que’는 곧이어 도래할 은유나 행위의 조건절을 예고한다. 그러나 그 예고는 끝내 완수되지 않는다. 이 미완의 구조는 감정의 말하기를 특정한 대상이나 서술을 향해 수렴하는 대신, 고백을 끝없이 지연하고 배회하게 만든다.


반면 한국어 제목인 『나는 너를 너무나 사랑해』는 외형상 얼핏 완결된 것처럼 보이지만, 한국어의 언어 구조 안에서는 주어와 목적어, 동사가 구조적으로 결속되어 있지 않다. “사랑해”라는 말은 동사 자체로 성립하는 문장이며, 종종 주체와 객체를 불분명하게 흔드는 채로 맥락 안에 위치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 동사가 음성으로 발화될 때, 청자를 가질 때, 주어와 목적어인 ‘나’와 ‘너’를 생략하더라도 이 고백은 여전히 청자를 향해 정확히 달려간다. “사랑해”는 언제나 덜 말해진 채 남아 있는 부분을 간직하는 발화다. 한국어에서 “사랑해”란 주어와 목적어 대신 청자라는 조건만을 필요로 하는 독특한 동사다. 주어와 목적어를 드러내지 않음으로써 불확정적인 관계를, 화자와 청자를, 우리를, 마음을 부드럽게 포용한다. 문법적으로 ‘사랑하다’라는 동사의 현재 시제 평서형 구어체인 “사랑해”는 언제나 과거와 현재, 미래를 한데 정성껏 뭉쳐둔 것 같은 동그란 시간을 품고 있다. 이처럼 사랑의 구조는 한국어에서, 특히 이 책의 한국어 번역에서, 관계와 주체, 객체를 고정하지 않으며 지속적으로 조각나고 미끄러진다. “사랑해”는 “나는 너를 사랑해”의 축약이 아니라 관계의 모든 경계를 삭제한 채 남겨진 유동하는 발화다. 이 말은 누구에게나, 모든 방식으로 향할 수 있다. 어쩌면 한국어의 구조 안에서만 가능한 “사랑해”라는 말이 이 책에서의 사랑이 움직이기에 딱 맞게 설계된 공간일지도 모르겠다.


원서에서 그림을 제외한 대부분의 요소는 사이언(Cyan), 옐로우(Yellow), 마젠타(Magenta) 즉 오프셋 인쇄를 구성하는 네 가지 원색 중 먹을 제외한 세 가지로 이루어졌다. 오프셋 인쇄는 기본적으로 CMYK, 네 가지 색으로 구성된 네 겹의 색판을 물리적으로 중첩하여 인쇄하는 과정을 통해 하나의 이미지를 만든다. 물론 네 겹의 면이 포개져 시각적으로 단일한 형상을 이루기 위해서는 각각의 겹을 정확한 위치에 포개는 것이 중요하다. 안 에르보는 반복과 중첩을 통해 드러나는 오프셋 인쇄에서의 단일한 이미지라는 것, 이 그림과 이야기에 책이라는 물성을 부여하기 위해 주어질 인쇄 과정이 『나는 너를 너무나 사랑해』 안의 사랑과 닮아 있다고 생각했던 듯하다. 불확정성이나 우연, 흔들림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확대경을 들고 네 겹의 윤곽을 정확하게 맞춰야 한다는 점만 제외하고. 책에서 각각의 C, M, Y 레이어는 분리된 채로 멀찍이 떨어져 있거나, 어긋나며 포개져 있다. 중첩을 통해 발생하는 색과 각각의 몸이 본래 가진 색이 동시에 노출된다. 평면 안에서 이루어진 이 어긋난 포개짐을, 완전한 하나도 둘도 물론 셋도 아닌 상태를 인쇄 과정에서 물리적으로 실행하고 싶었다. 완전한 투명이 아닌 종이를 통해 불완전하게. 북재킷에 사이언으로 인쇄된 형상과 표지에 옐로우로 인쇄된 형상이 책등에서 중첩될 때 초록이 발생한다. 물리적으로는 인쇄되지 않은 색, 그러나 서로를 포개는 둘의 만남이라는 사건으로부터 발생하는 색.


그림책 내부에서 끝없이 반복되는 “나는 너를 너무나 사랑”한다는 고백은 빠른 속도로 움직이고 비정형의 궤적을 그리며 춤춘다. 흔들린다. 부서진다. 모여든다. 뭉친다. 이 변화는 맥락의 이탈과 누적, 리듬에서 기인한다. 언제나 동일한 자리에 정박할 수 없는 관계의 성질을 묘사한다. 문장의 반복을 통해 정서를 확증하기보다, 각기 다른 장면과 사물, 대상을 통해 고백의 주체와 객체를 분산시킨다. “나는 너를 너무나 사랑해”라는 문장은 하마와 고무마개, 바다, 적란운, 항공 우편, 수도꼭지, 코끼리, 오페라, 성층권, 기상 현상, 일상적 사물들을 가로지르며 끝없이 이동한다. 이 책에서 “사랑해”는 언어적 상징이나 내면의 진실이라기보다 감정과 물질, 여러 감각의 교차점에서 나타나는 관계적 운동이다. 사랑의 감정은 언제나 불완전하며, 관계는 단일한 지시 대상이나 화자의 정체성으로 수렴하지 않는다. 이 고백은 규범적인 성애의 문법에 기대지 않고, 말하는 주체와 말해지는 객체 사이의 비대칭성과 모호함을 유지한다. “나는 너를 너무나 사랑해”라고 말하며 책은 계속해서 주체와 객체, 원인과 결과, 발화와 반응 사이의 접속 구조를 흔든다. 고백의 ‘너’는 단일한 실체로 고정되지 않고, 끝내 도착하지 않으며, 언제나 변주되는 모호한 ‘너’들로 남아있다. 이 책에서 “사랑해”라고 말하는 행위는 고정된 정체성과 대상 간의 선형적인 관계를 거부하는 움직임이다. “나는 너를 너무나 사랑해”라는 문장 뒤에 이어지는 장면들은 사랑이 반복 속에서 변형되고, 전치되고, 시각화되는 것임을 보여준다.


본문은 중구난방으로 뻗어나가고 확장되는 서사를 이루는 한 겹의 텍스트, 그리고 “나는 너를 너무나 사랑해”라는 고백의 끝없는 반복과 변주를 행하는 한 겹의 텍스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서에서 전자는 명조체를, 후자는 고딕체를 사용하는 것으로 구분한다. 한국어 서체는 각각 초설, 고요를 사용했다. ‘소복소복’이 아닌 ‘사박사박’으로 도착하는 첫눈의 감각에 가깝게 설계된 글자인 초설 1채희준 디자이너의 서체 ‘초설’ 소개글에서 발췌. 의 조형은 이 책의 요동하는 언어와 첫눈이라는 물질 안에서 조우하는 듯하다. 부드럽고 아주 조그마한 것, 피부 위에서 금세 녹아버리는 것, 자세히 들여다보면 무수한 결정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것. 고요는 보통의 고딕체가 가지는 기능성과 중성성을 수용하면서도 의도적으로 느슨한 자간과 여유로운 획의 마감으로 조형적 서정성을 확보한 서체다. 시끄럽게, 얼룩덜룩하게 반복되는 “나는 너를 너무나 사랑해”라는 발화를 평면 위에 균질하게 배치하는 동시에 고백의 부유 상태를 지속시킨다. 반복 가능한 몸짓으로 일시 정지한다.


이 책에서 “사랑해”는 의미라기보다 몸짓이다. 반복은 감정의 진실을 확증하는 방식으로 행해지지 않고, 말해졌던 것들이 다시 말해질 수 없음을 드러낸다. 사랑은 결코 정돈될 수 없는 시간이자 관계이고 상태이며 ‘너’는 윤곽 없는 형상으로만 존재하고, ‘나’는 말하면서 끊임없이 해체된다. 사랑은 반복 속에서 매번 새롭게 발생하며, 그 반복 자체가 고백의 형식이 된다. 그리고 책이라는 매체는 이 고백을 실현하는 물리적인 장소가 된다. 고백이라는 형식 자체를 실험하는 구조물이 된다. 사랑은 견고한 확신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실패하는 감정의 형식이기도 하며, 그 실패 안에서 다시 쓰이고 말해지고 감각된다. 『나는 너를 너무나 사랑해』는 이 반복과 실패, 광기와 유예의 구조 안에서 사랑이라는 말이 어떤 물성을 획득하는지를 보여주는 여러 겹의 물질이자 하나의 이미지다.


미끄러지고 벗어나고 흔들리는 “나는 너를 너무나 사랑해”의 동어반복을, 반복이라는 운동을, 운동이 필연적으로 내포하는 불확정성과 변주를, 이 모든 것을 향해 끝없이 열리는 시끄럽고 어지러운 사랑, 사랑이라는 부드러운 형식을 책이라는 물질을 통해 어렴풋하게나마 비추고 싶었던 나의 시도 역시 얼마간은 실패로 돌아갔을 것이다. 그러나 어떤 실패, 그리고 실패가 불러오는 우연 역시 “사랑해”라는 말 뒤의 줄임표가 내포한 것이리라 생각한다. 줄임표를 구성하는 원들을 손안에 두고 자세히 본다. 그것들은 부드럽고 연약하며 자꾸 들여다보고 있노라면 데구루루 굴러가려는 것 같기도, 외연을 넓히며 서로를 포개어 더 커다란 동그라미 하나가 되려는 것 같기도 하다. 이 미완의 운동, 불완전함의 부드러운 운동 안에서 사랑은 끝없이 가능해진다.




  1. 채희준 디자이너의 서체 ‘초설’ 소개글에서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