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망들―무른 산 김리윤
부서지고 부러진 김선오
비유와 착각 김리윤
구름 지우기 김선오
소리, 몸 김리윤
〈태몽들〉 작업 노트 김선오
숨과 올 김리윤
스타일 김선오
잠과 뼈 김리윤
김선오
전망들―감정과 사물 김리윤
내가 흐른다고 믿은 것 김선오
전망들―장면의 자락 김리윤
불결한 무(無) 김선오






배회와 궤적
  1. 흰 새의 뒤통수를 구성하는 흰 것과 희지 않은 것
  2. 더미와 형상


베를린에서 쓰기
  1. 2024.12.31 · 2025.1.1
  2. 2025.3.18


부드러운 재료
  1. 유리 상태: 가변 영원
  2. 유리 상태: 이미지 되기
  3. 유리 상태: 사랑과 작은 사자


시와 물질
  1. 비는 해수면에 닿는 순간 바다라 불린다
  2. 잠시 가두며, 표면을 흐르게 하며, 투명한 몸으로 통과 시키며
  3. 우리가 벌을 볼 때마다
  4. 미완 귀신 Unfinished Ghosts: 퀴어 포트레이트, 치앙마이
  5. 미완 귀신 Unfinished Ghosts: Intro
  6. 미완 귀신 Unfinished Ghosts: Prototype Ghost, Chiang Mai
  7. 〈비는 해수면에 닿는 순간 바다라 불린다〉 작업 노트


편지
  1. 익명의 독자님께
  2. 치앙마이에서 보내는 편지
  3. 도이사켓에서 보내는 편지


시대모사
  1. 어떤 착지 / 파동
  2. 산책법
  3. 물잔을 이해하다
  4. 씻긴 신


새 손
  1. 작업 노트
  2. 「깨끗하게 씻은 추상」을 위한 메모 또는 씻은 손 일지
  3. 깨끗하게 씻은 추상
  4. 전시 연계 텍스트: 눈과 손
  5. 인터뷰


전망들
  1. 전망들―무른 산
  2. 전망들―감정과 사물
  3. 전망들―장면의 자락
  4. 전망들―우연과 리듬
  5. 전망들―한 마리 하나 한 개
  6. 전망들―새 얼굴로
  7. 「전망들―새 얼굴로」를 위한 시작 노트
  8. 새 손으로
  9. 전망들


전망들

무른 산




봤어? 뭘? 그러나 우리는 길이 이어지므로 움직임을 지속하도록 설계된 물체 같았습니다. 그때 내가 본 것은 도로 위에서 죽은 여우였어요. 실은 여우였는지, 족제비였는지, 고라니였는지, 까마귀였는지, 아니면 젖은 종이 뭉치라거나 커다란 낙엽이었는지 확신할 수 없었으나 그것이 죽은 물질이라는 사실만은 분명했지요. 동행이 있었는데, 우리는 같은 길에서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눈들이었는데 나의 눈만 그것에 붙들린 채였습니다.


그러나 나의 눈은 그 덩어리와 섞이지 않았어요. 카메라의 도움 안에 놓인 것처럼, 렌즈의 몸을 잠시 빌리는 도움을 받은 것처럼, 보는 법을 모조리 잊고 다시 배우는 것처럼 작동하고 있었지요. 아주 멀리서 흐릿하게, 또 너무 가까이서 흐릿하게. 그리고 도로의 평평함을 깨뜨리고 있는 돌멩이처럼 놓인 그것. 그 이미지는 작은 얼룩으로 내 보기의 막을 어른거리고 있었지요. 작은 공이 되어 막 위를 미끄러지고 있었어요.


사실 죽은 여우가 있었어. 그래 저 길 위에. 응, 우리가 지나온 길.


동행과 손을 잡고 온 길을 다시 돌아갈 때는 내가 본 그것이 정말로 그 자리에 있을까 불안해졌습니다. 내 눈이 한 일이 다만 존재하는 현실을 본 것이었을까, 그것은 정말 물질로 존재하는 어려운 사실일까. 주변을 미세하게 헝클어뜨리는, 진동시키는 현실이었을까. 궁금하였습니다. 두려웠습니다. 이 두려움이 내가 본 것이 눈이 발견한 현실에 불과할까 봐 발생하는 것인지 내 눈이 마음대로 동원한 현실일까 봐 발생하는 것인지 알 수 없었습니다.


그것과 가까워질수록 손바닥이 간지러웠어요. 나는 가까워질수록 어른거리는 형상을 보고 있었어요. 유리창 안팎의 마주 봄 같은 보기, 뒤엉킨 시선 뭉치로서의 보기가 아닌 보기, 투명한 막을 제거한 보기, 반영에 나의 눈을 되비추는 보기. 그런 보기가 아닌 눈을, 창문 없는 전망을 가질 수는 없었으니까. 어떤 상이 어떤 감각을 주는지 잊을 수는 없으니까. 제가 느끼는 것은 현실을 이루는 물체들 각각의 형상을 한 기억 더미인지도 몰랐습니다.


보는 일은 언제나 혼자서였는데 묻어주는 일은 늘 함께였어요. 언제나 혼자인 것이 눈의 일이라면 다른 손을 불러내는 것이 손이라는 형상의 본성인 것처럼요. 우리는 잡은 손을 빼내어 흙을 파고 낙엽을 모았습니다. 내가 본 형상의 접촉면을 변경하는 움직임이 되었습니다. 우리가 함께 보고 있는 현실의 지면에 신선한 장애물을, 예외적인 평면을, 그러니까 작은 무덤을 만드는 손들이 되었어요. 고개를 숙이고 눈을 감고 묵념하는 것이 언제나 우리의 마지막 의례였죠. 손바닥의 뜨거움도, 피부에 달라붙은 흙의 차가움도, 흙과 피부의 부드러움도 모두 기억이 빚은 형상이라기엔 너무 선명했어요.


아, 사실 이건 꿈 이야기에요. 나란히 선 몸이 꾸는 꿈에서, 꿈이라는 양식의 현실에서, 현실을 위한 도구 속에서 저는 제 몸의 가시화를 견디고 있었어요. 곁의 몸이 행하는 보기에, 보기 앞에 언제나 존재하는 한 겹의 투명한 막에 서린 입김이 되고 있었어요.


꿈에는 언제나 카메라의 도움이 있으리. 초점이 만들어 내는 공간 안을 배회하는 것이 꿈의 현실이 되리. 초점은 털 한 가닥이나 물결을 이루는 주름 하나를 온 세상으로 만듭니다. 나는 털 한 가닥이나 물 주름 하나의 표면을, 서서히 휘어지는, 미세하게 굽이치는, 연약하게 흔들리는, 쓰다듬는 손길에 의해 방향을 완전히 변경하는 그 표면을 평생에 걸쳐 미끄러집니다. 배회합니다.


천변입니다. 산책하는 사람과 개들, 운동하는 사람들, 저녁 먹으러 가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또 어떤 몸의 꿈이 있고 꿈에는 카메라의 도움이 있습니다. 수면을 떠다니는 먼지들이 있고 물결을 만드는 바람이 있습니다. 물 주름 하나의 운동을, 그것의 일생을 촬영하려는 카메라의 의도가 있습니다. 서로 다른 물 주름에 속한 몸이 되어있는 동안, 같은 수면 위에서 같은 풍경을 볼 수는 없는 움직임이 되어 있는 동안에도 수면은 하나의 수면으로서 삶을 지속합니다. 일렁이는 현실이 됩니다. 우리는 이따금 하나의 물결로 포개져 같은 것을 묻어주는 여러 개의 손이 됩니다.


꿈을 구체적으로 복기할수록 선명해지는 보임이 있었습니다. 깊게 연루되는 중첩이 있었습니다. 안팎은 혼동을 위해 존재하는 구분인 것 같았습니다. 서로의 꿈에서 벗겨내진 사람 모양의 얼룩들이 추운 공기 속에서 차가운 바람에 펄럭이며 입김을 뿜어내고 있네요. 입김은 점차 창문의 투명도를 낮추고 있고요. 카메라의 도움 속에서는 송골송골 맺힌 수증기 입자들이 가두는 풍경이, 우리라는 얼룩들이 들어찬 그 풍경이 선명하게 보입니다.


바깥은 영하의 날씨입니다. 담배 연기와 입김이 구분되지 않습니다. 나는 뜨거운 숨을 내뱉은, 입김 모양의 현실을 만드는 몸으로 여기 있습니다. 히터를 켜둔 실내의 온기가, 안팎의 온도 차가 나의 움직임이라는 현실을, 물질로서의 나를 투명한 창 위에 덧입혀 보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