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움직임이라는 것을 해결하고 김리윤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동안의 피아노 음악 김선오
미미한 더미 김리윤
「불결한 무(無)」 작업 노트 김선오
새 숨 김리윤
Type it 김선오
사랑이라는 비문법 김리윤
짖는 기도 김선오
전망들―무른 산 김리윤
부서지고 부러진 김선오
비유와 착각 김리윤
구름 지우기 김선오
소리, 몸 김리윤
〈태몽들〉 작업 노트 김선오






배회와 궤적
  1. 흰 새의 뒤통수를 구성하는 흰 것과 희지 않은 것
  2. 더미와 형상


베를린에서 쓰기
  1. 2024.12.31 · 2025.1.1
  2. 2025.3.18


부드러운 재료
  1. 유리 상태: 가변 영원
  2. 유리 상태: 이미지 되기
  3. 유리 상태: 사랑과 작은 사자


시와 물질
  1. 비는 해수면에 닿는 순간 바다라 불린다
  2. 잠시 가두며, 표면을 흐르게 하며, 투명한 몸으로 통과 시키며
  3. 우리가 벌을 볼 때마다
  4. 미완 귀신 Unfinished Ghosts: 퀴어 포트레이트, 치앙마이
  5. 미완 귀신 Unfinished Ghosts: Intro
  6. 미완 귀신 Unfinished Ghosts: Prototype Ghost, Chiang Mai
  7. 〈비는 해수면에 닿는 순간 바다라 불린다〉 작업 노트


편지
  1. 익명의 독자님께
  2. 치앙마이에서 보내는 편지
  3. 도이사켓에서 보내는 편지


시대모사
  1. 어떤 착지 / 파동
  2. 산책법
  3. 물잔을 이해하다
  4. 씻긴 신


새 손
  1. 작업 노트
  2. 「깨끗하게 씻은 추상」을 위한 메모 또는 씻은 손 일지
  3. 깨끗하게 씻은 추상
  4. 전시 연계 텍스트: 눈과 손
  5. 인터뷰


전망들
  1. 전망들―무른 산
  2. 전망들―감정과 사물
  3. 전망들―장면의 자락
  4. 전망들―우연과 리듬
  5. 전망들―한 마리 하나 한 개
  6. 전망들―새 얼굴로
  7. 「전망들―새 얼굴로」를 위한 시작 노트
  8. 새 손으로
  9. 전망들


「불결한 무(無)」 작업 노트





「불결한 무(無)」는 김선오의 시 프로젝트 『태몽들』의 서문에 해당하는 작품으로, 존재와 비존재, A와 B라는 이분적 분류로 환원되지 않는 ‘없음’의 자리를 탐색한다. 시는 비선형적인 시간의 흐름 속에서 ‘있음’이 오히려 ‘없음’에게 불결한 대상으로 드러나는 장면을 반복적으로 구성한다. ‘보는 것’이라는 행위에 의해 발생하는 ‘있음’의 자리는 외설적이고 인간적이며, 동시에 무의미하다. 그러나 이러한 감각적 운동을 통해 있음과 없음의 자리는 교차되고 혼성화된다. 세계가 무(無)의 비약이라는 시인의 관점은 시 전반에 걸쳐 감지되며, 주요한 시적 대상인 ‘강’은 화자에게 말을 거는 타자의 한국어 이름이자, 동시에 존재론적으로 인간과 뒤섞이는 자연물로서 이중적인 위상을 갖는다. 박술 시인이 번역한 「불결한 무(無)」의 독일어판 「Unreines Nichts」에서는 ‘강’이 독일어 ‘길’을 의미하는 ‘Gang’으로 번역되어 새로운 층위의 맥락을 생성한다.


『태몽들』 프로젝트는 한국의 문화적 현상인 ‘태몽’을 시적으로 재구성하는 실천을 중심에 둔다. 태몽은 주로 부모나 조부모, 혹은 가까운 지인이 경험하는 꿈으로, 가족 내부에서 구술 서사의 형태로 전승된다. 이는 글보다 목소리로 유통되는 신화이며, 한 개인을 공동체의 일원으로 편입시키는 상징적 장치로 기능한다. 그러나 김선오에게는 태몽이 없었으며, 이는 곧 그 누구도 그의 탄생을 예고하지 않았다는 의미가 된다. 태몽의 부재는 공동체의 기억에서 지워진 출생에 대한 개인적 서사의 결핍이며, 이 결핍은 시라는 형식을 통해 재구성된다.


김선오는 태몽을 통해 태아의 성별을 점치는 한국 사회의 젠더 문화적 관습을 넘어, 퀴어이자 논바이너리 당사자로서 젠더 이분법과 혈연 중심 신화의 구조를 해체하고, 그 경계를 넘어서는 또 다른 태몽을 언어로 상상한다. 시의 신체성, 리듬, 목소리는 잃어버린 이야기를 복원하고, 기존 공동체의 바깥에 놓인 존재들을 위한 새로운 귀속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김선오는 문법적 성별이 불분명하고, ‘나’보다 ‘우리’를 즐겨 사용하는 한국어의 언어적 특성과 음절 단위의 시각 구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언어가 공동체 생성의 재료로 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태몽들』은 구술 전통, 문화 기억, 신체를 지닌 시적 목소리를 연결함으로써 출생이 아닌 서사와 육성에 기반한 공동체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작업이다. 김선오는 이 시적 실천을 통해 기존의 가족 서사와 단절된 존재를 위한 새로운 신화, 새로운 이름 붙이기의 방식을 모색하며, 퀴어 존재를 위한 재귀속의 언어를 구축해나간다.